본문 바로가기
정보 이야기

우리 몸에 온갖 세균 배꼽에 다 모여있었다.

by 이십오에이치 2023. 8. 18.
반응형

 

전체 피부에 1000종(種)가량의 세균 서식

 

 

가장 많은 부위는 배꼽

여름철 더운 습한 날씨는 세균이 번식하기에 가장 좋은 환경입니다.

따라서 폭염이 다시 찾아오면 땀 냄새, 세균 번식 등 개인 신체 위생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합니다.

땀 때문에 우리의 피부는 금세 끈적끈적해지고, 이때 세균은 자신들이 번식하기에 이상적인 환경을 만나게 됩니다.

물론, 우리 몸에 살고 있는 세균 중에는 우리 몸에 이로운 것들도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위생 관리는 우리의 몸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부가 지저분하다고 해서 반드시 건강에 해롭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청결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여름철에는 개인 위생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합니다.

우리 피부에는1000종(種)가량의 세균이 살고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인간게놈연구소 연구팀이 건강한 성인 10명의 신체부위 20곳에서 DNA 샘플을 채취해 배양하는 방법으로 밝힌 결과, 11만 2000가지 이상의 세균 유전자 염기서열이 확인된 바 있다.

피부에만 살고 있는 세균 종류는 1000여 가지를 넘었으며, 속(屬: 종의 상위 그룹) 숫자는 205가지에 이르렀다.

이렇게 피부 각 부위에 사는 세균 종류나 그 숫자는 건선, 습진 같은 피부질환이 왜 부위별로 다르게 일어나는지 등을 알 수 있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세균이 좋아하는vs 싫어하는 신체 부위 따로 있어

세균 입장에서 우리 몸은 사막이다. 바짝 마른 모래 같은 곳이 있는가 하면, 오아시스처럼 축축한 곳, 또는 유전처럼 기름이 철철 넘치는 곳이 있다. 이렇게 부위의 특징마다 세균의 종류나 숫자가 달라진다는 뜻이다. 좋으나 나쁘나 온갖 세균이 가장 많이 사는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을 살펴본다.

 

축축하게 살기 좋은 '오아시스' 같은 부위 = 배꼽

세균이 가장 살기에 적합한 곳이 바로 '오아시스'처럼 축축한 곳! 배꼽, 코 속, 겨드랑이, 팔꿈치 안쪽 등이다. 이렇게 축축한 곳 중에서도 세균 숫자가 가장 많은 곳은 배꼽 > 겨드랑이 순이다.

 

마르고 건조해 '사막의 평야' 같은 부위 = 팔뚝

마르고 건조한 '사막의 모래 평야' 같은 부위는 세균이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는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세균 숫자 자체는 '오아시스' 부위보다 적어도 세균 종류가 다양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가장 많은 종류의 세균이 살고 있는 부위는? 팔뚝이다. 44가지 종 세균이 살고 있어 세균 종류가 가장 다양하다.

 

기름져서 살기 힘든 '유전' 같은 부위 = 코 옆

항상 기름이 분출되는 '유전' 지역은 세균이 가장 못 사는 부위다. 양 눈썹 사이, 코 옆 등이 대표적으로, 이런 기름진 부위에는 세균 숫자가 적다. 기름진 환경에 적응한 세균만 살고 있다.

 

세균 종류가 가장 적은 부위 = 귀 뒤쪽

세균 종류가 가장 적은 곳은? 기름지면서도 피부가 얇은 귀 뒤쪽 피부다. 이 부위에 서식하는 세균은 19종에 불과하다.

 

 

 

여름철 더 잦은 찌릿찌릿 방광염 증상과 예방법

찜통 무더위가 계속 되고 있다. 덥고 습한 여름철에는 세균 번식이 활발해져서 여러 질병이 걸리게 됩니다. 방광이 세균에 감염돼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하는 방광염은 전체 환자의 90%가 여성입니

2525h.tistory.com

 

 

코감기 시작 했다. 노랗다가 투명했다가 콧물색깔 별 컨디션해석

노랗다가 투명했다가... 콧물 색깔이 왜 이래? 콧물 등 체액의 색깔을 화제로 삼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지만 콧물의 색깔을 보면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다. 집안 청소 때 자욱한 먼지를 털고 닦은

2525h.tistory.com

 

 

왕년에는 날씬했었다. 처음부터 뚱뚱한 사람은 없다. 비만의 원인?

살찐 사람 뇌의 시상하부 부피 훨씬 더 크다.. 특히 식욕조절중추 두드러져 비만의원인 비만한 사람의 뇌 시상하부 부피는 정상체중을 가진 사람에 비해 더 크고 특히 '식욕조절중추(Appetite Contro

2525h.tistory.com

 

본인이 방구대장 뿡뿡이라면 이 병 의심해보세요

본인이 방구대장이라면? 언젠가부터 소화가 안 돼 더부룩하고 방귀까지 잦아졌다면 소화기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각종 인스턴트 음식과 야식 등으로 소화 장애를 호소하는

2525h.tistory.com

 

반응형